본문 바로가기
재테크상식

결혼식 비용, 얼마나 드나요? 지역별·시기별 차이와 가성비 준비 팁!

by 피살백과사전 2025. 5. 28.
반응형




최근 몇 년 사이 결혼식 비용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는 뉴스, 많이 보셨을 겁니다. ‘스드메(스튜디오+드레스+메이크업)’부터 예식장 대관, 식대, 혼수까지 더하면 신혼부부 입장에서는 부담이 적지 않은 게 현실이죠. 특히 지역이나 결혼식 시기에 따라 비용 차이가 크게 나기 때문에 꼼꼼한 준비가 필요합니다. 오늘은 결혼식 비용의 전반적인 현황과 함께, 가성비 있게 결혼 준비하는 팁을 공유해드릴게요!




결혼식 비용, 얼마일까? (2024~2025 기준)
1. 평균 결혼 비용

한국소비자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, 2024년 기준 평균 결혼식 비용은 약 5,000만 원 수준입니다. 이 중 스드메가 약 300만~600만 원, 예식장 대관료와 식대가 합쳐 약 2,000만 원 이상, 예물·예단·혼수 등을 포함하면 1억 원 가까이 들 수 있다는 계산도 나옵니다.

2. 지역별 차이

서울/수도권: 평균적으로 가장 비싸며, 웨딩홀 대관료와 식대가 특히 높습니다. 식대는 인당 6만~10만 원, 웨딩홀 대관료는 무료인 경우도 있지만 프리미엄 홀은 수백만 원까지 요구되기도 합니다.

지방 대도시(부산, 대구 등): 수도권보다는 저렴하지만 인기 있는 호텔이나 스튜디오는 수도권 못지않은 가격대를 형성합니다.

중소도시/농촌 지역: 상대적으로 저렴하며, 가족 중심의 소규모 결혼식이 많아 전체 비용도 줄어듭니다.

3. 시기별 차이

성수기(56월, 910월 주말): 예식장과 스드메 예약이 몰리면서 가격이 20~30% 이상 올라갑니다. 특히 토요일 오후 시간은 프리미엄 타임으로 추가 비용이 붙는 경우가 많습니다.

비수기(12월, 78월, 평일): 상대적으로 할인 혜택이 많고 대관료 무료 옵션도 많습니다.




가성비 있게 결혼식 준비하는 5가지 팁
1. 스드메 패키지 대신 ‘셀프 웨딩 조합’ 고려하기

스드메 패키지는 편리하지만, 업체마다 퀄리티와 가격차가 큽니다. 드레스샵, 메이크업샵, 스튜디오를 각각 비교해 ‘셀프 조합’을 하면 100만 원 이상 절감할 수 있습니다. 특히 평일 촬영이나 신규 오픈 매장은 할인 혜택이 큽니다.

2. 웨딩홀은 ‘평일 or 비수기 오후 시간’ 공략하기

주말 프라임 타임은 비싸기 때문에, 평일 저녁이나 일요일 오후, 12월 혹은 78월 등 비수기 시즌을 공략해보세요. 식대도 할인되고, 여유로운 일정도 장점입니다.

3. 중고/렌탈 활용하기 (예물·소품·신혼가전 등)

예물, 한복, 혼수 등은 중고 거래나 렌탈 서비스도 많이 활성화되어 있습니다. 한두 번 사용할 물품은 굳이 새것을 사지 않아도 되며, 렌탈하면 보관 걱정도 덜 수 있어요.

4. 웨딩 박람회 & 공동 구매 활용하기

웨딩박람회나 커뮤니티 공동 구매는 저렴한 패키지 상품을 찾을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. 특히 스드메, 본식스냅, 드레스 등은 현장에서 할인 계약이 가능하니 꼭 들러보세요!

5. 하객 수 줄이기 & 소규모 웨딩 고려

요즘은 간소하게, 의미 있게 결혼하고자 하는 커플도 많아졌습니다. 스몰웨딩이나 야외 결혼식을 통해 전체 예산을 절감하면서도 개성 있는 웨딩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. 하객 수가 줄면 식대와 부대비용도 크게 감소합니다.




결혼식, 돈보다 중요한 건 ‘우리의 이야기’
결혼은 인생의 큰 이벤트지만, ‘비용이 많아야 좋은 결혼식’은 아닙니다. 오히려 예산을 현명하게 조절하고 우리에게 의미 있는 순간을 만드는 것이 더 중요하죠. 위에서 소개한 방법들을 잘 활용하면 부담은 줄이고 만족도는 높일 수 있습니다. 두 분의 소중한 시작, 합리적으로 준비해보세요!




반응형